윈도우 10의 업그레이드가 모종의 이유로 실패한다면 눈 앞이 캄캄해집니다. 이전 자료에 대한 걱정부터 이전 윈도우를 그냥 쓸껄하는 자책까지...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한 원망은 뒤로하고도 말이죠. 관련해서 오류해결책에 대한 정보를 모아보았습니다.
오류코드 확인하기
윈도우는 오류 발생시 오류코드를 알려준다. 아래는 필자가 윈도우 10 업그레이드 실패를 경험하면서 발생한 오류 코드에 대한 예시이다.
업그레이드중 아래와 같이 이전 윈도우로 복구가 되어버렸다.
오류코드 800706FB를 알리나 이에 대한 검색결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필자는 HDD 공간을 약 30Gb이상으로 여유공간을 만들고 다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였더니 오류없이 윈도우 10 업그레이드에 성공하였다. 윈도우 10에서 요구하는 공간은 3Gb 정도의 여유공간인데 업그레이드를 성공하고 난후 Windows.old 파일을 살펴보니 무려 20Gb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었다. 실제로 필요한 여유 공간은 Windows.old 가 생성될 크기를 예상해야 되는 것이 아닐까?
오류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지 못하거나 알려진 방법들을 동원해도 계속적인 실패를 경험할 수 있다. 평소에 자신의 시스템에 많은 수정이 가해졌거나 순정의 윈도우가 아니라고 생각된다면 포맷후 순정의 MSDN 버전으로 클린 설치를 하고 업데이트를 진행 후 업그레이드를 시도하는 것이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는 OS가 설치된 디스크와 시스템 예약 파티션의 디스크가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이다. 대부분 임의로 파티션을 수정하거나 HDD를 교체하여 OS를 재설치할때 나타나며, 파티션 업데이트 실패를 참고하자.
많은 이들이 겪는 문제중에 하나로 별다른 해결책이 없어도 다시 재설치를 시작하면 다음 업그레이드는 성공하는 경우이다. 그래도 실패한다면 C:\WIndow\SotfwareDistribution\Download 경로의 모든 파일을 지우고 재부팅후 다시 시작해보자.
이전 윈도우에 설치된 보안/방화벽/백신 프로그램들의 호환성에 문제가 있어 프로그램이 충돌을 일으키는 경우이다. 설치된 프로그램들에서 관련 부분들을 제거해보고 각 하드웨어들들의 드라이버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이후 증상을 확인해보자. 윈도우 10을 지원하지 않는 하드웨어의 경우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디스플레이 어댑터의 드라이버 문제 혹은 출력이 예기치 않은 포트에 전송되는 문제등이 원인이 된다. 메인보드 및 그래픽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윈도우즈 10 공식 드라이버들을 설치해보고 증상의 유무를 다시 확인해 보자. 만일, 제조사측에서 윈도우즈 10과 관련된 드라이버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다른 모니터를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다른 포트로 출력되고 있는지도 점검해 보도록 하자. 특히나 노트북의 경우, 기본 노트북 모니터가 아닌 D-Sub 포트로 모니터의 화면을 출력하고 있는 경우가 종종 보고 되곤 한다(필자도 겪은 현상).